Patient Awar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Infection Control in Dental Clinics

Original Article
조 주희  Ju Hee Jo1강 민경  Min Kyung Kang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erce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dental infection management among dental health consumers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satisfaction.Methods: From October 1st to 20th, 2020,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43 medical consumers with experience of visiting dentists. SPSS for Windows was used to perform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e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dental infection management.Conclusion: To increase the intentional reuse of dental-care facilities by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level of recogni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infection management.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percep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by dental patients is required, and dental staff should be aware of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medical consumers.

Keyword



1. 서론

치과 진료실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광범위한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에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1) 진료실 특성상 타액 및 혈액, 날카로운 기구에 의한 상처, 치과치료 시 사용되는 치과용 핸드피스 및 초음파 스케일러 같은 기구에서는 에어로졸이 발생하기 때문에 감염이 일어나기 쉬운 환경에 놓여 있다(2). 이러한 위험이 치과진료실에서 노출되지 않은 곳에서부터 노출되어 있는 곳까지 광범위하게 퍼져 있지만, 감염관리에 관한 노력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3,4).

현대사회에는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의료 정보가 의료소비자에게 전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의료소비자는 치료뿐 만이 아닌 진료실 환경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특히나 진료실 내의 감염관리에도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5).

과거에는 치료를 잘하는 의료기관이 의료소비자가 병원 선택을 하는 기준이었으나(2) 이제는 치과를 선택하는 기준이 “청결 위생상태”일 정도로 과거의 통증 치료에 비중을 두었던 의료소비자들의 인식이 변화하였다(6). 따라서 의료소비자들이 치과를 선택하는 데 있어 단순히 의학적 수준뿐만 아니라 감염관리 정도와 소독 및 멸균 여부가 치과 선정에서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7).

치과 의료소비자들의 구강보건 인식이 높아짐과 동시에 치과 치료건수가 증가되었으며 치과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치과의 진료실 내부환경 및 감염관리에 대하여 요구량이 커졌다(8). 즉, 감염관리는 치과 의료 서비스에서 환자들이 요구하는 당연한 서비스 중 하나가 되었고, 더불어 의료기관은 치과 의료소비자들이 치과 감염관리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요구사항들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9). 2006년 치과 감염관리 실태의 보도 이후로는 이(1), 임(10)의 연구에서는 치과 감염관리에 대한 치과 의료소비자의 인식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나(11) 조사 대상 지역과 병원이 한정되어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1).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들은 치과 감염관리에 관해 당면하고 있는 상황의 치과 의료진의 입장에서 접근하며 그들의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였고(12) 치과 의료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치과감염관리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그에 따른 만족에 대한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 의료소비자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치과의료진 및 치과의료소비자의 입장에서 만족할 수 있는 감염관리에 대해 파악하고자 했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서울·인천·경기도·충청남도 지역에 있는 치과에 내원한 경험이 있는 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2020년 10월 1일부터 2020년 10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수는 G*Power 3.1 프로그램(Heinrich-Heine-Universität Düsseldorf, Düsseldorf, Federal Republic of Germany)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0.05, 효과크기 0.25에서 검정력 0.95, 변수 11개로 하였을 때 상관분석에 필요한 최소표본크기는 164명이 필요하였다. 불성실한 응답 또는 미응답이 있는 설문지를 대비하여 총 250개의 표본을 얻었으며, 그 중 불성실한 7부를 제외한 243개의 표본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2.2. 연구 도구

환자들의 치과 감염관리에 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선행연구의 설문문항을 참조하였으며, 전문가 1인의 자문을 얻어 설문문항을 재구성하였다. 측정 항목은 일반적 특성은 5문항, 치과의료기관 방문 4문항, 치과 감염관리의 만족도에 대한 10문항, 인식도 7문항 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 치과의료기관 방문, 치과감염관리정보와 인식도의 측정도구는 임(10)과 윤(11)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을 사용하였고, 치과 감염관리의 만족도에 사용한 도구는 연구목적과 관련 있는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고안하였다.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는 Likert 방식에 의한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매우 그렇지 않다’에 1점, ‘매우 그렇다’에 5점으로 측정하였다. 5점에 가까울수록 만족도와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의 알파값이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 0.693,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만족도 0.935로 나타났다.

2.3. 통계분석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dow Program (version 21.0; IBM Corp., United States)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 방문 경험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치과감염관리인식도 및 만족도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Duncan의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치과감염관리 인식도 및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 (Table 1)과 같다. 여성이 53.1%. 연령은 20대 44.0%, 거주지는 농촌지역(면,읍) 38.3%, 최종학력은 대학교졸업이상 56.4%, 응답자의 직업에 관한 비율은 전문직 및 기술직 28.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100103_image/Table_KJCDH_10_01_03_T1.png

3.2. 대상자의 치과 방문 경험

대상자의 치과 방문 경험에 대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최근 1년간 치과의료기관 방문에서는 ‘예’ 68.7%, 마지막으로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한 이유는 비관헐적 치료가 총 79.0%, 마지막으로 내원한 치과의료기관 형태는 치과의원 85.2%, 정기적인 치과의료기관 방문에서는 ‘아니오’ 63.4%으로 나타났다.

Table 2. Participants’ dental visit experience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100103_image/Table_KJCDH_10_01_03_T2.png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인식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인식도는 (Table 3)와 같이 성별에서는 여자가 4.06±0.53점으로 높으며(p<0.001), 연령에서는 20대가 4.10±0.56점으로 가장 높았고(p<0.001), 거주지에서는 특별시,광역시에서 3.99±0.6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졸업이상이 4.07±0.57점으로 높았으며(p<0.001), 직업에서는 전문직 및 기술직이 4.20±0.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Table 3. Patients' perception of dental infection contro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100103_image/Table_KJCDH_10_01_03_T3.png

p-value by independent t-test or one way ANOVA test

Same alphabet lette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ifferent alphabetic lett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0.05, **p <0.01, ***p <0.001

3.4.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만족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만족도는 (Table 4)와 같이 성별에서는 여자가 3.80±0.69점으로 높으며, 연령에서는 20세 이하가 4.24±0.83점으로 가장 높았고(p<0.001), 거주지에서는 중소도시(도,시)에서 3.83±0.7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졸업이상이 3.90±0.71점으로 높았으며(p<0.01), 직업에서는 학생이 4.16±0.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Table 4. Patients' satisfaction with dental infection contro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100103_image/Table_KJCDH_10_01_03_T4.png

p-value by independent t-test or one way ANOVA test

Same alphabet lette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ifferent alphabetic lett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p <0.05, **p <0.01, ***p <0.001

3.5.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인식도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인식도는 (Table 5)와 같이 최근 1년간 방문 여부에 따른 인식도는 아니오가 4.07±0.5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1), 마지막으로 방문한 이유에서는 비관헐적 치료가 3.97±0.59점으로 높고(p<0.01), 마지막으로 내원한 의료기관 형태에서는 치과병원 및 대학병원에서 4.00±0.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건소에서 3.21±0.3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결과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기적인 방문 여부에 따른 인식도에서는 예 3.91±0.59점, 아니오 3.91±0.63점으로 같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Table 5. Patients' perception of dental infection control according to dental visit experience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100103_image/Table_KJCDH_10_01_03_T5.png

p-value by independent t-test or one way ANOVA test

*p <0.05, **p <0.01

3.6.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만족도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만족도는 (Table 6)와 같이 최근 1년간 방문 여부에 따른 만족도는 아니오가 3.89±0.73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방문한 이유에서는 비관헐적 치료가 3.82±0.67점으로 높고, 마지막으로 내원한 의료기관 형태에서는 치과병원 및 대학병원 4.09±0.6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5), 정기적인 방문 여부에 따른 만족도는 예가 3.86±0.7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Table 6. Satisfaction with dental infection control in patients according to their dental visit experience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100103_image/Table_KJCDH_10_01_03_T6.png

p-value by independent t-test or one way ANOVA test

a,b means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α=0.05

*p <0.05

3.7. 치과감염관리 인식도 및 만족도의 상관관계

치과감염관리 인식도 및 만족도의 상관관계는 (Table 7)와 같이 인식도와 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542, p=0.000).

Table 7.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dental infection control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100103_image/Table_KJCDH_10_01_03_T7.png

*p <0.001 by the pearson correlation

4. 고안

현대 사회는 바이러스에 많은 노출이 되어 있으며, 최근 코로나바이러스 등 새로운 전염병이 유행하면서 국민들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서 많은 두려움을 느낀다(11). 그에 따라, 감염예방의 중요성은 새롭게 인식되고 있으며, 감염관리에 관한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병원에서도 특히 치과진료실의 감염은 중요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13).

이에 본 연구는 치과의료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성별에서는 여성이 평균 4.06±0.5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이는 이(12)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1)의 연구결과와 같이 여자가 남자보다 더 청결한 병원을 중요시하여 감염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아져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연령에서는 20대가 평점 4.10±0.5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0대가 3.45±0.5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01). 윤(11)의 연구결과에서는 50세 이상이 치과감염관리의 인식 여부가 높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거주지에서는 특별시, 광역시에서 3.99±0.6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농촌지역(면, 읍)에서 3.78±0.6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이는 특별시, 광역시보다 농촌지역이 감염관리에 대한 정보를 얻을 경로가 적어서 그럴 것이라고 사료된다.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 졸업 이상이 4.07±0.57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감염관리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다(p<0.001). 이는 이(1)와 임(10)의 연구결과와 같이 학력이 높을수록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김(14) 연구결과에서도 학력이 높을수록 감염관리 교육을 잘 받는 것으로 나타나, 학력이 높을수록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업에서는 전문직 및 기술직이 4.20±0.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농업/축산업 관련 직종이 3.45±0.4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01). 이는 이(12)의 연구결과에서는 주부가 가장 높은 인식도를 나타냈지만,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면,읍)에서 가장 낮은 인식도를 나타낸 결과와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성별에서는 여성이 평균 3.80±0.6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20세 이하 4.24±0.8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60대 이상에서 3.07±0.5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p<0.001), 거주지에서는 중소도시(도, 시)에서 3.83±0.7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 졸업 이상이 3.90±0.7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직업에서는 학생이 4.16±0.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무원이 3.28±0.5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01). 즉, 모든 만족도의 결과에서는 인식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치과감염관리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최근 1년간 치과 의료기관 방문 여부에 따른 인식도는 최근에 내원하지 않은 환자가 4.07±0.55점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이는 최근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감염관리의 인식도가 높은 환자들이 오히려 치과 방문을 피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치과 의료기관을 방문한 이유에서는 비관헐적 치료가 3.97±0.5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비관헐적 치료에서는 스케일링과 잇몸치료, 정기 구강검진을 받는 사람들이 대다수였으며, 정기적인 구강검진을 받는 환자들이 더 인식도가 높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이는 이(1)의 연구결과에서는 같이 정기검진으로 인해 치과를 더 자주 내원함으로써 치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나타났으며, 이(15)와 고(16)의 연구결과에서는 스케일링 경험이 많을수록 인식도가 높게 나타나며,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하고 있어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게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치과감염관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치과병원 및 대학병원이 4.09±0.6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병원이 다른 치과 의원이나 동네 병원보다 더 전문적이라는 믿음이 강하고, 병원의 명성이나 신뢰를 중요시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되며, 이는 이(17)의 연구결과에서 진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치과감염관리 인식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542, p=0.000). 최근 환자들은 과거와 달리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치과 의료진은 치과진료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철저한 감염관리가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응답자의 연령대 비율이 20대에 밀집되어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를 중심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환자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감염관리에 대한 관심과 실천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음에 의의가 있다.

5. 결론

본 연구는 치과감염관리에 관한 치과의료소비자의의 인식도에 따른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고, 치과에 내원한 환자 2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성별에서는 여자, 연령에서는 20대, 거주지에서는 특별시, 광역시,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 졸업 이상, 직업에서는 전문직 및 기술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의 치과감염관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에서는 20세 이하,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졸업이상, 직업에서는 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3)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치과감염관리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최근 1년간 방문 여부 경험이 없는 경우에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4)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치과감염관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치과병원 및 대학병원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5) 치과감염관리 인식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r=0.542, p<0.001).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는 서로 관련성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가 높아지면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치과의료소비자의 입장에서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실태와 인식에 대한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치과 임상에서는 감염관리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지속적인 실천을 하도록 해야겠다.

References

1 1. Lee YK, Kim SD. About dentistry infection from dentistry medical institution recognition research of patient. J Dent Hyg Sci 2010;10(4):617-625.  

2 2. Kim JH, Kim GW. Recognition of medical consumer over the infection control of dental clinic.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11):306-312. 10.5392/JKCA.2013.13.11.306.  

3 3. Song KH. The evaluation of sterilization patterns of dental clinics in taegu city.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Health Natural Science 1992;13(1):1271-1288.  

4 4. Choi GS. A study on the practice of barrier technics and hepatitis B virus infection rate among dental personnels in taegu c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1994;11(2):1-19.  

5 5. Lee YA, Jo MJ, Bae JY, Park HS.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dental staffs in dental office. J Dent Hyg Sci 2007;7(4):263-269.  

6 6. Goddess of dentistry. "Cleanliness and hygiene" is the number one dental choice. [online]https://www.dailydental.co.kr/news/article.html?no=80784. 2020.10.20.  

7 7. Yang JJ, Moon SE, Kim YJ, Kim SY, Cho HE, Kang HJ. Awareness and practice on infection control of dental hygienists -comparison between accredited dental hospitals and non-accredited dental hospitals. J Dent Hyg Sci 2019;19(5):677-688. 10.13065/jksdh.20190058.  

8 8. Cho MJ. A study on re-use intention through external stimuli and infection control of dental office perceived by medical consumer. J Dent Hyg Sci 2011;11(4):571-580.  

9 9. Bae MR, Chun JH, Lee JH. Analysis of selection criteria of consumers for dental clinic.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3):271-277. 10.5392/JKCA.2013.13.03.271.  

10 10. Yim HK. Patient’s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health-care settings[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2008.  

11 11. Yun JH. A survey of perception of medical customers about dental infection control[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Environment;2014.  

12 12. Lee KH, Yang JE, Mun SH, Kim JE.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about dental infection control of the dental pati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7;17(3):343-354. 10.13065/jksdh.2017.17.03.343.  

13 13. Kim YS. Study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and practice of infection prevention by dental hygienists in dental clinics. J Korean Oral Health Sci 2019;7(1):8-17. 10.33615/jkohs.2019.7.1.8.  

14 14. Kim BY, Park JM, Park EJ. A study on the impacts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on dental hygienists' perceptions for hepatitis type B and their practices to prevent infec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4;52(4):287-297. 10.4047/jkap.2014.52.4.287.  

15 15. Lee BG, Lee JH. Awareness and satisfaction survey regard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ental scaling.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6;40(1):17-23. 10.11149/jkaoh.2016.40.1.17.  

16 16. Ko MK, Lim DS, Ahn YS. Deciding factors of regular scaling checkup in metropolita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2013;13(6):969-976. 10.13065/jksdh.2013.13.06.969.  

17 17. Lee IK, Park CY, Chae YM, Lee HJ, Kim DK. Comparisons of patients’ selection and satisfaction between corporate and university hospital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1997;7(1):3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