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Recognition of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Filling and Sealant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riginal Article
문 혜영  Hye-Young Mun1김 은애  Eun-Ae Kim1김 지은  Ji-Eun Kim1양 윤형  Youn-Hyung Yang1이 연경  Yeon- Kyeong Lee1전 미경  Mi-Kyoung Jun2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filling and sealant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identify differences in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Methods: A self-reported online questionnaire (Google form) was distributed to dental hygienists currently working in dentistry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 total of 21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The increase in health benefits at low prices” contributed the most (64%) to satisfaction with the conversion of light curing composite resin's medical expenses. The factor most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pits and fissure sealing was the increase in health coverage at low prices (48.6%). Finally, job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mong dental hygienists who wanted to exp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items. Conclusions: Dental hygienists were found to be satisfied with the coverage of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filling and sealant. The expansion of coverage items among dental hygienists' work is an opportunity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ists.

Keyword



1. 서론

최근 의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평균 수명 증가와 국민의 소득 및 생활수준 향상으로 국민들의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치과의료 패러다임의 변화로 예방 중심의 의료서비스의 확대와 적절한 의료보장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1).

구강질환 중 치아우식증은 중대구강병 중의 하나로서 의료보장의 제도적 지원 필요성이 높은 질환이다(2). 치아우식증의 수복재로 광중합형 복합레진은 과거에 널리 쓰이던 재료인 아말감보다 심미성이 좋고 치아와 결합력이 우수하며(3), 치아 삭제량이 적어 자연치아를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글래스아이오노머에 비해서는 강도가 높아 영구치 수복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4). 치면열구전색은 치아의 교합면에 존재하는 소와 및 열구에 좁고 깊은 홈이 있어 치아우식증에 이환되기 쉽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와 및 열구를 인공적인 재료로 봉쇄하여 음식물의 함입과 이후 치아우식증 발생을 방지하며(5), 80-90%의 높은 우식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국민의 평등한 건강보장을 위해 의료비 부담 완화 및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해 청소년의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었다(7). 이에 따라. 치면열구전색은 2017년 10월부터 만18세 이하 소아의 건전한 제1, 2대구치를 대상으로 환자 본인 부담금이 10%로 인하되었으며(8), 비급여 항목이었던 광중합형 복합레진 치료는 2019년 1월1일을 기준으로 만 12세 이하의 영구치에 한하여 본인 부담금 30%로 급여가 시작되었다(9). 최근 광중합형 복합레진은 2020년 5월 1일에 급여 대상기준이 일부 변경되어 만 5세 이상 ~ 만 12세 이하의 아동에서 치수병변이 없는 치아우식증에 이환된 영구치에서만 적용되게 되었다(10).

구강건강의 유지 및 증진을 위한 공공재를 통한 급여항목의 적정성과 효용성 타진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복합레진과 치면열구전색에 관해서는 일부 소비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들(11,12)만이 보고되고 있으며, 치과의료현장에서 치과 의료서비스에 관한 정보제공과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위치로 알려진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13).

따라서 본 연구는 광중합형 복합레진 및 치면열구전색 건강보험 급여화가 시행 및 확대된 시점에서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광중합형 복합레진 및 치면열구전색의 급여화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고 치과건강보험 급여항목 확대에 대한 인식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직무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를 졸업하고 전국 치과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9년 9월 12일부터 30일까지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하여 구글(Google) 온라인설문조사를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217부 중에 응답이 부적절하거나 오류가 있는 3부를 제외한 21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2.2. 연구방법

연구도구는 정혜영(14)의 연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일반적 특성인 연령, 최종학력, 근무경력, 근무기관유형, 거주지역, 근무기관 치과위생사 수 6문항과 치면열구전색 및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건강보험 급여에 관한 12문항, 급여항목 인식도 2문항,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14문항으로 총 3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직무만족도에 관한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 5점 척도로써, 측정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α=0.82이었다.

2.3. 통계분석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IBM SPSS 20.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조사대상자자의 일반적 특성, 광중합형 복합레진 및 치면열구전색 건강보험 급여화 만족 이유, 광중합형 복합레진 및 치면열구전색의 병원 내 시행 의료종사자, 건강보험 급여화 추가 확대 시행을 원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치과위생사의 급여항목확대에 대한 인식에 따른 만족도는 Kolmogorov-Smirnov test로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것을 확인 후, Kruskal-Wallis 검정을 이용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는 각 집단별로 Mann-Whitney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a=0.05로 하였다.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연령은 만 20~29세 이하가 85.0%로 가장 높았고, 근무경력이 5년 이하가 77.1%로 가장 높았으며, 최종학력은 전문학사가 65.0%로 가장 높았고, 근무처는 치과의원에서 근무가 68.2%로 가장 높았다. 근무지역은 경기도가 56.1%로 가장 높았으며, 병원 내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수는 5명 이하가 38.3%로 가장 높았다(Table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080201_image/Table_kjcdh_08_02_01_T1.png

3.2. 치면열구전색 급여화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치면열구전색 급여화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살펴보면, 급여확대에 관해 84.1%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출처에는 학회 및 협회 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현재 임상에서 치면열구전색 시행자는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가 65.4%로 가장 높았고 치과위생사 24.2%, 치과의사 9.8%, 간호조무사 0.6%순으로 나타났다. 급여확대에 대한 만족은 만족이 97.1%로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했다. 급여확대 만족의 이유로는 저렴한 가격으로 보건의료 혜택 증가가 50.0%로 가장 높았고 급여확대 불만족의 이유로는 환자수 증가로 의료질 저하가 50.0%로 가장 높았고 치과위생사 업무의 증가가 33.3%, 건강보험료 인상이 16.7% 로 나타났다.

Table 2.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sealant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080201_image/Table_kjcdh_08_02_01_T2.png

3.3. 광중합형 복합레진 급여화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광중합형 복합레진 급여화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살펴보면, 급여확대에 관해 86.0%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보험 광중합형 레진 시행 정보의 출처로는 학회 및 협회가 56.5%로 가장 높았으며, 치료 시행자로는 치과의사가 시행한다는 비율이 92.0%였다. 보험 급여 확대에 만족의 비율이 94.4%, 불만족의 비율이 5.6%를 보였다. 급여확대 만족이유로는 저렴한 가격으로 보건의료혜택증가가 67.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급여확대 불만족이유로는 환자수 증가로 의료질 저하가 50.0%로 가장 높게 차지하였으며, 과잉진료의 증가가 25.0%, 건강보험료 인상이 16.6%, 치과위생사의 업무 증가가 8.4% 순이었다.

Table 3. Recogni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filling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080201_image/Table_kjcdh_08_02_01_T3.png

3.4. 건강보험 급여화 추가 확대에 대한 의견 및 항목

추가적인 건강보험 급여화 확대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면,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50.4%였으며, 적절하다는 의견은 46.3%,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3.3%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광중합형 복합레진과 치면열구전색 외에 건강보험 확대 적용이 되었으면 하는 항목으로 불소도포와 칫솔질교육이 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에 대한 응답으로는 교정치료에 대한 보험적용이 있었다(Table4).

Table 4. Opinions and items for further expansion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080201_image/Table_kjcdh_08_02_01_T4.png

3.5. 치과위생사의 급여 항목 확대에 대한 인식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조사대상자의 급여 항목 확대에 대한 인식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급여항목 확대에 관해 108명이 더 확대하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5). 직무만족도 14개 항목 중 보험 급여 항목 확대를 원하는 집단이 보험 급여 항목 확대를 원치 않는 집단보다 내가 하는 업무에 대한 보람을 느낀다와 평생 직업에 대한 안정성 항목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Table 5.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health insurance coverage expansion http://dam.zipot.com:8080/sites/KJCDH/images/N0960080201_image/Table_kjcdh_08_02_01_T5.png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p-value obtained from Kruskal-Wallis tests

a~cSubgroup by Mann-Whitney tests

4. 고안

현대사회의 건강의 개념은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치아나 구강상태의 행태적 및 그 일련의 결과들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므로 구강건강은 포괄적 건강의 필수 요소이다(15). 이에 따라 최근 구강건강 유지 및 증진을 보장하기 위한 구강건강관련제도로 치과 건강보험급여화가 확대되고 있다(16).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확대 시행된 치면열구전색과 만 12세 이하 영구치 복합레진 치료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인식, 추후 확대시행을 원하는 항목,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현재 치과건강보험 시행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향후 수정, 보완 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치과 급여 확대 항목 중 치면열구전색 급여화에 관한 인식은 84.1%로 나타나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97.1%가 만족하였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보건의료 혜택의 증가가 만족하는 이유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김지현(17)의 연구에서는 치면열구전색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찬반 정도에서 찬성하는 의료 소비자의 비율은 84.8%, 치과위생사는 81.5% 치과의사는 68.5%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치과 요양기관 종사자 및 의료서비스 소비자 모두 치면열구전색의 확대 시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렇듯 건강보험 급여화의 확대 정책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긍정적인 반응은 추후 이어질 정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치면열구전색은 치과위생사의 고유업무임에도 불구하고 업무수행에 있어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가 같이 수행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간호조무사가 수행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업무수행의 위법적인 상황도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더 강력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중합형 복합레진은 2019년 1월 1일부터 새롭게 추가된 급여 항목으로서 시행 1년이 되어가는 현 시점에 실황과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존 보험적용 항목들에 비해 높은 수가를 산정했던 과거에 비해 만 5세 이상 ~ 만 12세 이하의 아동에서 치아우식증이 있는 영구치에만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지만 치료비의 절감과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국민의 구강건강 증진에 이바지 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나아가 유아기부터 치과 요양기관에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검진을 받고 질병의 초기 단계에 치료하고 계속적인 전문가의 구강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데에도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대상자인 치과위생사도 90% 이상이 급여화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하는 이유로 저렴한 가격으로 보건의료혜택 증가가 가장 높았다. 불만족은 5.6%로 나타났으며 환자수 증가로 의료질 저하가 불만족 이유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앞으로의 치과건강보험 정책 개선 및 확대를 위해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중합형 복합레진과 치면열구전색 이외 건강보험 확대에 관한 의견은 50.4%가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확대를 원하는 항목으로는 불소도포와 칫솔질교육이 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레진 급여 확대가 23.8%, 크라운 치료 10.2 %, 임플란트 급여확대 8.8%, 없음 7.4%, 노인의치 급여확대 1.3%, 기타(교정치료) 0.9%순으로 나타났다. 한지형(18)의 연구에 따르면 급여확대를 위해 우선순위로 고려해야 할 항목으로 전문가 집단의 경우 치면열구전색술, 예방 목적의 치석제거, 불소도포, 칫솔질교육, 노인틀니 순이었다. 선행연구(18)와 비교하여 2020년을 기준하여 실현되지 못한 항목은 불소도포와 칫솔질 교육이며 이러한 요구는 본 연구에서 확대항목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불소도포와 칫솔질교육으로 일치하였다. 또다른 선행연구(19,20)에서도 예방진료에 대한 요구가 대부분이었던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예방 관련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보존 및 보철치료의 급여 확대에 대한 요구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방진료 항목의 보험 급여 확대 필요성은 이미 오랜 기간 동안 알려져 왔고 실제로 급여 확대로 이어졌으며 본 연구에서 드러난 보존 및 보철치료에 대한 급여화 항목 확대 요구를 바탕으로 향후 보험급여 확대 항목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건강보험 급여 확대 의견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보험급여 항목 확대를 원하는 집단이 보험 급여 항목 확대를 원치 않는 집단보다 업무에 관한 보람과 직업의 안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의 총점은 보험급여 항목 확대 및 적절하다는 집단이 보험 급여 항목 확대를 원치 않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의료공급자인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치과건강보험에 관한 만족도는 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인 실정이다(21,22). 따라서 향후 업무의 주체가 되는 치과의료공급자인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광중합형 복합레진 및 치면열구전색 건강보험 급여화에 관한 인식과 급여화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치과건강보험 급여항목 확대에 대한 인식에 따른 치과위생사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는 데에 있어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연구는 편의추출을 통한 단면연구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고, 광중합형 복합레진 및 치면열구전색 건강보험 급여화 시행이 기간이 짧아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에 비교 고찰이 어려웠다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표본 지역을 확대하고 근무기관별로 표본 수를 증가하여 현행 건강보험 급여항목에 따른 인식 및 요구도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결론

본 연구는 치면열구전색과 광중합형 복합레진치료의 치과건강보험 급여화 시행에 대한 인식과 급여화 확대의견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자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구글 폼)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치면열구전색과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급여화 시행에 관해 대부분의 치과위생사들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중합형 복합레진 급여화 확대 시행에 대부분의 치과위생사가 만족하고 있었으며 만족하는 이유는 저렴한 가격으로 보건의료혜택 증가, 치면열구전색 외에 초기우식 치료 및 예방 가능, 고가의 치과진료비 인식 개선, 환자 수 증가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치면열구전색 급여화 시행 또한 대부분이 만족하고 있었으며 만족하는 이유는 저렴한 가격으로 보건의료혜택 증가, 치아우식증 예방 가능, 치과위생사의 고유업무 발생, 고가의 치과진료비 인식 개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광중합형 복합레진과 치면열구전색 외에 건강보험 확대 적용이 되었으면 하는 항목으로 불소도포와 칫솔질교육이 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레진 급여 확대가 23.8%, 크라운 치료 10.2 %, 임플란트 급여확대 8.8%, 없음 7.4%, 노인의치 급여확대 1.3%, 기타(교정치료) 0.9%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치과건강보험 급여항목 확대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을 때 적절하다 와 더 확대되어야 한다가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하였다. 또한 치과건강보험 급여항목확대 의견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확대와 적절하다 생각하는 집단이 축소의견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References

1 Kim KH, Kim HN. A study of issues and problems: government's plan for benefit expansion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Law & Policy Institute 2018;24(2):1-24. 

2 Kang BW, Kim KS, Kang HK, Ku IH, Kwon HM, Kim SS et al. Contemporary preventive dentistry 4th ed, Seoul: Koonja Pub INC; 2012; 29-30. 

3 Burgess JO, Walker RS, Porche CJ, Rappold AJ. Light curing-an update. Compend Contin Educ Dent 2002;23(10):889-908. 

4 D Dietschi, U Scampa, G Campanile, J Holz. Marginal adaptation and seal of direct and indirect class II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an in vitro evaluation. Quintessence Int 1995;26:127-138. 

5 Beauchamp J, Caufield PW, Donly KJ et al. Evidence-based clinical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pit and-fissure sealants: a report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J Am Dent Assoc 2008;139:257-268. 10.14219/jada.archive.2008.0155. 

6 Park KH, Shin SC. A Clinical study on the retention rate of pit & fissure sealing. J Korean Acad Oral Health 1993;17:53-68.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ews & Welfare. [online]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269&CONT_SEQ=316755. 2020.05.07. 

8 Choi JS, Park DY, Jung SH. The relationship between pit and fissure sealant (PFS) experience and the socio-economic factors of adolescents before and after coverage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7;41:116-121. 10.11149/jkaoh.2017.41.2.116.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formation & legislation. [online]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6831&SEARCHKEY=TITLE&SEARCHVALUE=%EB%B3%B5%ED%95%A9%EB%A0%88%EC%A7%84. 2020.5.7.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formation & legislation. [online]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54262. 2020.5.7. 

11 Kim JK, Choi YS, Park YD. A recognition study on sealant health insurance service of parents of an elementary students in a metropolitan a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9;33(4):575-584. 

12 Hwang JM, Han JH.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s parents with the pit & fissure sealing program in some regions. J Dent Hyg Sci 2009;9(4):469-474. 

13 Lee DS, Han GS. Problems to Solve and Job Enlargement on the Inclusion of Dental Hygienists in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 J Dent Hyg Sci 2018;18(6):340-348. 10.17135/jdhs.2018.18.6.340. 

14 Jung HY. Workload and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 after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ca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Youngnam University;2019. 

15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as a health measure: the predictive value of self-reported health status on the use of physician services and on mortality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J Clin Epidemiol 1997; 50(5):517-528. 10.1016/S0895-4356(97)00045-0. 

16 Kim EJ, Hwang SJ, Baek EJ, Kim YG, Nho SH, Shin MS. Some Adults` Opinions about private dental insurance and national dental insurance according to stress of dental treatment cost. J Dent Hyg Sci 2015;15(6):703-711. 10.17135/jdhs.2015.15.6.703. 

17 Kim JH. A study on recognition and needs about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ervice[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2010. 

18 Han JH. A study on priority-setting in expanding the health insurance insurance coverage[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2007. 19. Hwang YJ, Cho YS, Lee SY.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J Dent Hyg Sci 2015;15(5):620-627. 10.17135/jdhs.2015.15.5.620. 

19 Lee SH, Lee HS, Oh HW. Awareness of oral health workforce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J Dent Hyg Sci 2015;15(1):46-53. 10.17135/jdhs.2015.15.1.46. 

20 Jung JY, Lim MH. Awareness and satisfaction towar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caling. J Korean Soc Dent Hyg 2015;15(6):1107–1116. 10.13065/jksdh.015.15.06.1107. 

21 Lee BG, Lee JH.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care customers after 1year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J Korean Soc Dent Hyg 2016;16(2): 185-193. 10.13065/jksdh.2016.16.02.185.